백천만겁난조우百千萬劫難遭遇
(백천만겁이 지나도 만나기 어렵네)
|
백천만겁이라는 무한에 가까운 세월 동안 내가 산다고 해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읽고 들을 수 있는 인연을 만나기가 그토록 어렵다는 뜻입니다.
|
겁劫
겁이라는 말은 그리 낯설지 않습니다. 찰나가 순간이라면 겁劫은 찰나에 상대되는 ‘겁나게’ 오랜 시간을 의미합니다. 겁이라는 시간 단위는 고대 인도의 시간 개념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도하면 땅 덩어리는 크고 인구도 엄청나지만, 무지하게 가난하고 낙후된 나라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러던 것이 불과 몇 년 전부터 IT산업(반도체, 인터넷, 이동통신 등 전자 정보통신 기술산업)의 세계적 전문가 중 다수가 인도 출신으로 알려지며, 그들의 새로운 면을 본받게 되었습니다. 구구단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12단~ 20단을 외우는 열풍도, 인도 공과 대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따지고 보면 바로 겁(劫)과 연관되는 인도의 숫자 개념에 기인한 것입니다.
인도에서 제2의 부처라 불린 용수(龍樹:150∼250? 인도의 불교학자로 대승불교의 사상적 근간을 이룸)라는 분의 저서 중, <천수경>과 더불어 가장 대중화된 경전인 <반야심경>의 원전(原典)인 <대품반야경>을 해설한 <대지도론(大智度論)>이란 주석서에 등장하는 겁(劫)에 대한 설명을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사방이 1유순(由旬: 약 15㎢) 되는 성 안에 겨자씨를 가득 채운 후, 100년에 1알씩 집어내어 그 겨자씨가 다 없어지는 시간보다도 더 긴 시간. 반석겁(盤石劫)의 비유에 의하면 1모서리 길이가 1유순 되는 단단한 바위를 부드러운 면포(綿布)로 100년에 한 차례씩 닦아 바위가 완전히 닳아 없어지면 1겁」
이 정도면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 시간 단위인데, 대개 1겁을 43억 2000만 년이라고 한답니다. 그런데 <천수경>에서는 여기에다 ‘백천만겁’ 이라 했으니, 아예 계산은 포기하고 그냥 ‘영원히’라고 넘어가 버리는 게 편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영원히 만날 수 없을지도 모르는 귀한 법(法)을 나는 드디어 <천수경>에서 만났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