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ddhism

나무南無, 보살菩薩, 마하살摩訶薩

나무 관세음보살 마하살 南無 觀世音菩薩 摩訶薩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이제부터는 다시 관세음보살님에게 귀의 한다는 다짐이 계속되는데, 간혹 관세음보살님이 아닌 다른 보살들도 귀의의 대상으로 등장합니다.

 

나무南無

나무는 귀의(歸依)와 같이 믿고 의지한다는 말입니다.
앞의 ‘아금칭송서귀의’(我今稱誦誓歸依)에서 나온 귀의와 같은 의미인데, 역시 산스끄리뜨어 나마스(Namas)를 한자음에 가깝게 음역한 것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나무’로 통일하여 쓰는 것이 정착되었는데, 전에는 ‘나모’ ‘남모’로 표기하기도 하였습니다.

대개 불·보살의 앞에 붙여 불·보살님을 받들어 공경함은 물론이고, 내 목숨조차 돌이켜 의지하고 믿는다는 절대적 신심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원래 ‘나무’ 다음의 이어지는 귀의의 대상은 부처님이나 보살들이었으나, 대승불교가 발달한 후에는 진리 즉, 불법(佛法)등에 절대적으로 의지한다는 의미로 그 사용 범위가 넓어집니다. <천수경>의 마지막 부분인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의 ‘나무’가 그런 경우입니다. 심지어는 불경의 이름 앞에 ‘나무’를 붙여 불경을 믿음의 상징으로 여기기도 합니다. ‘나무대방광불화엄경’, ‘나무묘법연화경’ 등이 그 예입니다.

흔히 ‘남묘호렌게쿄’ 라고 알려져 있는 일련정종(日蓮正宗)에서는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을 일본말로 발음하여 ‘남묘호렌게쿄’라 하는 것입니다.
<법화경>을 소의(所衣)경전으로 삼기는 하지만 석가모니를 부정하는 묘한 신앙으로 포장한 이 사법(邪法)의 단체는 우리나라에서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발생지인 일본불교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제창가학회(SGI:Soka Gakkai International) 약어로 SGI라고 자신들을 칭하는데, 아마 ‘남묘호렌게쿄’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단체는 정통 불교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사이비 집단입니다.

어쨌든 이들은 ‘나무’를 <법화경>의 원래 이름인 ‘묘법연화경’ 앞에 붙이고, 그것을 ‘남묘호렌게쿄’라고 염불 기도하듯 하는 것을 최고로 여기고 있습니다.

보살菩薩

보살은 <천수경>에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이라고 앞에서도 몇 번 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살에 대해 다시 확인해 드려야 할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천수경>을 공부하고 있고, <천수경>은 대승불교의 총론(總論)에 해당하는 경입니다. 그리고 대승불교의 핵심은 보살사상에 있습니다. 다시 말씀 드려 불교를 이해하려면 바로 이 보살의 개념을 충실히 아는 것이 필수입니다.

보살은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堤 下化衆生)이라고, 위로는 깨달음을 추구하며 동시에 중생도 구제한다는 원을 세워 실천해 나가는 수행자의 모범적 모습입니다.
심지어 보살의 목표인 깨달음이 늦어지더라도, 중생 구제를 우선시 한다는 큰 자비심을 수행의 근본으로 삼아야 진정한 보살인 것입니다.

보살의 목표인 깨달음의 경지는 52단계가 있습니다.
<화엄경>에는 보살이 부처를 이루기까지의 이 52단계를 상세히 밝혀 놓았습니다. 보살의 52단계란 부처를 이루기 전, 보살로서의 수행의 단계를 52(階位)로 구별한 것으로, 쉽게 말씀드리면 이 52가지의 깨달음의 경지를 거쳐 부처를 이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 다른 말로는 부처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할 52가지 수행을 뜻한다고 이해하셔도 됩니다.

보살 수행의 필수 과정인 이 52단계는 십신(十信)·십주(十住)·십행(十行)·십회향(十廻向)·십지(十地)에 각 10계위가 있어 50단계이고, 그 다음은 51위인 등각(等覺) 52위인 묘각(妙覺)을 거쳐 부처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대승불교의 견지에서는 이 52단계의 보살 수행을 거쳐야 부처님과 같은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마하살摩訶薩

마하살은 유독 보살(菩薩) 뒤에만 붙는 겹존칭어입니다. 사실 보살 이라는 말 자체 ‘인간의 단계를 넘어 수행을 완성한 이’로서 존경과 귀의의 대상이라는 의미가 포함된 말입니다.

그런데 대승불교 후기에 이르러서는 수 백 수 천의 다른 이름을 가진 보살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그 많은 보살 중에서도 특별하고 수승한 능력과 지위에 있는 보살들에게는 ‘마하살’이라는 표현을 더해 ‘보살마하살’이라고 구별하기에 이릅니다.

그러니까 보살마하살은 대보살(大菩薩), 즉 보살 중에서도 특별히 뛰어나고 수승한 보살을 지칭하는 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천수경>에서 지금 열거되고 있는 보살들은 모두 마하살이 붙었으니, 그런 의미에서 그냥 보살이 아니라 아주 대단한 보살이라고 단정해도 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천수경>의 이분들은 중생에게는 부처님과 다를 바 없는 보살을 지칭하니, ‘마하살’을 붙이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