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64

작업발판의 구조

사업주는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는 제외한다)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작업장소에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맞는 작업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1.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것으로 할 것 2.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센티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외줄비계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다. 제2호에도 불구하고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선박블록 또는 엔진실 등의 좁은 작업공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작업발판의 폭을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걸침비계의 경우 강관기둥 때문에 발판재료 간의 틈을 3센티미터 이하로 유지하기 곤란하면 5센티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틈 사이로 ..

Old 2016.12.03

아이폰 미 밴드2 펌웨어 업데이트 실패 현상 해결 방법

미 밴드에 이어 미 밴드2를 사용하고 있다. 타 제품들에 비해 저렴한 맛에 사용을 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전작에 비해 약간 고급스럽고 기능도 딱 필요한 정도로 적당하기 때문에 매우 만족하며 쓰고 있다. 하지만 쓰면서 느낀 작은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펌웨어 업데이트 실패 현상이다. 전에도 이런 일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 시 중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럴 때 해결 방법은 단순하다.아이폰의 블루투스에 들어가 나의 기기에서 미 밴드를 삭제한다.[MI Band 2 연결됨 ⓘ]여기에서 ⓘ를 터치하여 들어가 '이 기기 지우기'를 선택하면 된다.그 후 다시 미밴드를 연결하고, 미 핏(MI Fit)에 들어가 쌍으로 연결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Old 2016.11.24

CAK 취업인증교육 시험문제

1.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하는 구조방식이 아닌 것은 ?① 가구식② 일체식③ 자유방식④ 조적식2. 상대방이 갖고 있는 다양하고, 수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질문스킬이 매우 유용하다. 다음 중 질문스킬 종류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① 상대방의 자유로운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열린 질문법② 사실 확인 또는 여부를 묻는 닫힌 질문법③ 어떤 주제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의견을 묻는 간접질문법④ 상대방의 판단을 묻는 판단질문법3. 건설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해야 하는 의무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① 당해 공사의 공종에 상응하는 건설기술자를 배치하여야 한다.② 최소 1인이상의 건설기술자를 배치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③ 건설기술자 1인을 3개 공사현장에 배치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④ 공사 개시 후 건설기술..

Old 2016.11.23

묘진언妙眞言, 가호加護

아금지송묘진언我今持誦妙眞言 내 이제 미묘한 진언을 읽으니 묘진언妙眞言 진언을 밀교의 수행법이라고 서두에 말씀드렸습니다.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경들을 보면 진언이 생각보다 상당히 많습니다. 더욱이 ‘이런 진언이 과연 미묘하고 신통해서 깨달음에 이르게 해줄 수 있는가?’ 하는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밀교 수행을 하는 분들은 의심 자체를 반박하시겠지만 한편으론 독충(毒蟲)에 물렸을 때 이런 진언을 외우면 된다는 경전의 말을 그대로 믿으라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진언 수행법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그러나 진언이 수행의 만사를 해결해 준다는 생각이야 말로, 큰일 날 ‘불법’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석문예범(예불과 불공, 시식 등 불교의 의식을 정리한 교범)’에 보면, 불공이나 제사 등 ..

Old 2016.11.23

사방찬四方讚

사방찬四方讚 신묘장구 대다라니 후에 바로 사방을 정화하고 찬탄하는 의식(儀式)인 사방찬이 등장합니다. 시작부에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 즉 동서남북·중앙· 위아래 등 모든 곳에 계신 신들을 안위하는 진언이 있었습니다. 사방찬도 그 의미에서 유사한 면이 있으니, 그 위치가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 전이나 후에 있는 편이 훨씬 자연스러울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쨌든 사방을 찬탄하는 방법이 물을 뿌리는 정화의식인 세례(洗禮)입니다. ‘세례’ 하면 우선 기독교를 연상하실 텐데, 물에 의한 속죄나 축복의 의식(儀式)은 불에 의한 의식(儀式)과 더불어 그 역사가 상당히 깊습니다. 기원전 6세기경 자라투스트라(Zarathushtra)라는 인물에 의해 페르시아와 이란을 중심으로 발생한 조로아스터교는 아후라 마즈다를 ..

Old 2016.11.23

신묘장구대다라니 神妙章句大陀羅尼

신묘장구대다라니 神妙章句大陀羅尼 신통스럽고 묘한 능력이 있는 신비스러운 말씀 우나모 라다나 다라야야 (삼보께 귀의합니다)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니가야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마하살 대비존께 귀의합니다)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모든 어려움에서 지켜주시고 구제해주시는 자비로운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나막 까리다바 (의지하고 찬탄하옵니다) 이맘 알야 바로기제새바라 다바 (내 이제 마음을 되새기어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을 찬탄하옵니다)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청경존(淸頸尊)이신 관세음보살님의 참마음의 찬가를 암송합니다)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모든 이익을 성취하시는 훌륭하시며 누구도 이길 수 없고 중생..

Old 2016.11.23

제대보살諸大菩薩, 본사 아미타불本師 阿彌陀佛

나무 제대보살 마하살 南無 諸大菩薩 摩訶薩 모든 보살님께 귀의합니다 제대보살諸大菩薩 여기서 제대보살이란, 이런 이름의 보살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제(諸)’라는 말은 ‘일체의’ ‘모든’ 이라는 뜻이고, ‘대’(大)는 ‘크신’ ‘성스러운’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위에 열거한 보살마하살 말고도 존재하는 모든, 이름을 가진 큰 보살들을 ‘제대보살’이라고 총칭하여 귀의 한다는 의미입니다. 실은 ‘마하살’ 자체에 크고 위대하다는 ‘大’의 뜻이 함축되어있으니, 그저 ‘나무제보살마하살’이라고 하더라도 격식에 어긋나는 것은 아닙니다. 어쨌든 천수경은 여기까지 관세음보살과 일체의 보살께 신명(身命)을 다해 의지할 것을 다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미타불께 귀의하게 됩니다. 나무 본사 아미타불 南無 本師 阿彌陀佛 보..

Old 2016.11.23

십일면보살十一面菩薩

나무 십일면보살 마하살 南無 十一面菩薩 摩訶薩 십일면보살님께 귀의합니다 십일면보살十一面菩薩 이십일면보살이야말로 관세음보살의 중생 구제를 위한 다양한 현신(現身)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관세음보살은 중생의 어려운 상황이나 그 수준에 따라 맞춤 구제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는 이를 32응신(應身)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상세히 묘사하고 있습니다. 「부처님이 무진의 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여, 어떤 국토의 중생으로 부처의 몸으로서 제도할 이에게는 관세음보살은 부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벽지불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벽지불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성문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성문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느니라. 범천왕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범천..

Old 2016.11.23